본문 바로가기
독서

채권의 이해(금리와 채권) -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앙드레 코스톨라니)

by CHEMMA 2020. 4. 22.
반응형

 

 

금리와 주가의 관계 -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앙드레 코스톨라니)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앙드레 코스톨라니) - 주가 흐름의 이해 Chapter 4: 증권 거래소 – 시장 경제의 신경 체제 증권 거래소의 역사에 대해 설명하는 내용은 제외했다. 저자는 주식시장이..

punchout.tistory.com

위의 금리가 중기적으로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내용에 이어서 채권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앙드레 코스톨라니는 채권과 금리는 경쟁 관계에 있다고 설명한다. 이는 결국 금리와 주가가 반대로 움직인다는 앞의 설명과 동일한 내용으로 보인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채권 시장에 대해 간략한 설명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채권 시장을 이해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마지막에는 외환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다.

 

채권: 주식의 경쟁상대

 

저자는 채권에 대해 아래와 같이 주식과 경쟁 관계에 있다고 서술한다. 다만, 밑에 서술하였지만, 채권가격은 주식과 같이 움직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채권 시장의 이자가 높으면 높을수록 주식 시장에 들어오는 돈은 줄어들며,

채권 시장의 이자가 낮아지면 반대로 주식 시장으로 들어오는 돈은 증가한다.

 

채권도 수요 공급의 원칙에 따라 이자가 결정이 된다. 투자 혹은 다른 기업의 인수를 위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은 주식 이외에 채권을 발행한다. 이때 채권 발행량이 수요를 초과한다면 이자를 올려야 한다. 반대로 국가나 기업이 신규 자본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장기 금리는 내려간다.

 

장기 금리와 단기 금리의 관계

 

장기 금리와 단기 금리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장기 채권 이율이 낮을 경우에는 기업이 단기 채권 금리 수준으로 낮은 금리의 장기 채권을 발행할 수 있어 채권 발행이 증가한다. 그러면 채권 공급은 늘어나게 되고, 그 결과 시세가 하락하며, 장기 금리는 얼마 못 가 상승하게 된다. (앞에서 말한대로 채권 발행량이 수요를 초과할수록 이자를 올려야 한다.)

 

반대로 장기 채권의 이자가 단기 채권 이자보다 확실히 높다면, 기업의 입장에서는 싼 단기 이자를 내고 자금을 충당하고자 하겠지만, 투자자들은 장기 채권에 몰리게 된다. 그 결과 장기 채권 공급은 줄어들고, 수요는 증가하여 시세는 상승하지만, 이자는 떨어진다.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결국 장기 채권과 단기 채권은 균형을 이루며 거래가 된다. 다만, 이 균형이 깨지는 시기가 있는데 이는 금융 위기와 같은 위기 상황이다. 코로나 사태 초기에도 동일한 현상이 있었는데, 위기 상황에서 기업들은 현금 확보를 위해 단기 채권 발행을 늘리고, 채권 발행량이 늘지만 투자자들은 위기 상황에서 채권을 매수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결국 단기 채권의 이자율이 급등하여, 장기 채권 이자율을 크게 앞선다. 위기 상황이 종료되기 전까지는 이자율 역전 현상은 지속되며, 안정화가 되어야 역전 현상이 차츰 정상화 된다.

 

채권 차익 거래

 

이러한 상황에서 이자 차익 거래가 진행 된다. 어떤 사람이 3.5%의 금리로 단기 대출을 받아 대출금으로 10년 만기 7% 이자율 채권을 투자하면, 아무런 자본 없이 매년 3.5%의 이자를 차익으로 벌 수 있다. 이를 이자 차익 거래라고 한다. 다만, 차익 거래는 단기 금리가 갑자기 큰 폭으로 상승할 경우 손실을 볼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앞에서 말한 금융위기, 코로나 사태와 같은 금리 역전 현상을 생각해보자)

 

금리와 채권의 관계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기대가 있으면, 장기 이자는 즉시 상승한다. 반면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기대가 확산 되면, 채권의 이자는 떨어진다. 이 경우에 장기 이자는 일정 기간 동안 단기 채권 이자율보다 낮아진다.

 

저자가 말하는 이자율은 채권 수익률을 말하는 것이고,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연동되어 금리가 낮아질수록 채권 가격은 올라간다. 이로 인해서 우리가 채권 ETF를 매수할 경우 금리가 내려갈수록 수익을 보게 되고, 금리가 올라갈수록 손실을 본다.

 

예를 들어 A2017년에 10% 채권을 1만원에 매수한다. B2018년에 금리가 올라가서 20% 채권을 1만원에 매수한다. 이 경우 A2017년에 산 10% 채권을 팔고 2018년 채권을 살 것이며, 2017채권을 파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채권 가격이 내려가 손실을 본다.

반대로 금리가 내려가 A2017년에 10% 금리로 채권을 사고, 2018년 금리가 5%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에는 금리가 높은 2017년 채권 매수자가 증가하면서 채권 가격은 상승한다. , 금리가 내려갈수록 채권 가격은 올라간다.

 

외화: 달러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인플레이션으로 화폐가치가 떨어지면서 환율이 약해지면, 중앙은행은 타국 화폐로 자국 화폐를 사는 방법으로 외환 시장에 개입하여 이를 저지하고자 한다. 그러나 외환 보유고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자국 통화의 투자를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금리를 올리는 수 밖에 없다. 반대로 환율이 너무 높아서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어 수출 산업이 위기에 빠지려는 나라는 금리를 낮춘다.

 

외환을 통해 두 나라 통화 사이의 이자 차익 거래가 가능하다. 한 국가의 이자가 특히 낮고 다른 나라의 이자가 높다면, 한쪽 화폐로 돈을 빌려서 다른 나라에 예금하거나 투자함으로써 쉽게 돈을 벌 수 있다. 다만, 어느 날 이자가 낮은 국가의 환율이 강세로 변하면 환 손실이 이자 차익보다 많아질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