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재테크 정보20

개인 연금 저축 계좌를 활용하는 이유(IRP vs 개인연금저축) 연금 자산은 크게 DB, DC, IRP, 개인연금 저축 4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간략하게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DB: 회사 퇴직금의 종류로 확정급여형이라고 불린다. DB형은 기존의 퇴직금과 같으며 퇴직 시점 마지막에 받은 월급을 기준으로 근무한 년수를 곱한 금액을 받는다. DC: 회사 퇴직금의 종류로 확정기여형이라고 불린다. DC형은 DB 형과 달리 근로자가 직접 운용을 할 수 있으며, 매년 자신의 퇴직금에 해당하는 돈을 미리 받아 직접 운용을 하는 방식이다. 즉, 개인의 운용 성과에 따라서 퇴직금이 불어날 수도 줄어들 수도 있다. IRP: 개인형퇴직연금이라고 불리며 개인이 직접 자금은 납입하여 운용하는 방식이다. IRP의 경우 주식형 펀드와 같은 위험자산에 70%이상 투자할 수 없도록 제한되.. 2020. 9. 1.
이자보상배율(ICR), 유동 비율 미국 주식을 볼 때 안정성 측면에서 내가 가장 주로 확인하는 2요소를 정리하였다. 일반적으로 미국 기업은 한국 기업과 달리 자사주 매입/소각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의 자본이 낮게 잡히고 이로 인해 부채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한국 주식에서 부채 비율을 보는 것과 달리 안정성 측면에서 다른 요소를 확인하고 있다. 1. 이자 보상 배율(ICR, Interest Coverage Ratio) 이자 보상 배율은 영업 이익 중 이자 비용으로 나가는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즉,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자 보상 배율 = 영업이익/이자비용 위의 식을 보면 이자비용 대비 영업이익의 비율로 이자 보상 배율이 클수록 부채에 대한 이자를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 2020. 8. 27.
ELS 손익 구조 - 스텝다운 노낙인형(ELS 선택 기준) ELS 손익 구조 - 스텝다운 낙인형 금융 상품 - ELS(내가 왜 ELS 투자를 시작했는가?) ELS 상품을 부정적으로 보고 이전까지 투자를 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어느 정도 매력적이라는 생각이 있어 ELS 투자를 시작했다. ELS 상품이 무엇인지 내가 왜.. punchout.tistory.com 낙인형 ELS에 이어서 노낙인 형 ELS의 손익구조를 알아봤다. 큰 차이는 없지만, 말 그대로 낙인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서 상품 구조가 바뀐다. 위의 미래에셋 대우 상품중 노낙인형 상품을 보면, 노낙인이 명시되어 있다. 해당 상품은 HSCEI, S&P 500, 삼성전자 가치에 연계되어 있으며, 92-92-70-70-85-65는 낙인형 상품과 동일하게 6개월 마다의 조기 상환 조건이다. 수익률은 연 10.2.. 2020. 5. 9.
ELS 손익 구조 - 스텝다운 낙인형 금융 상품 - ELS(내가 왜 ELS 투자를 시작했는가?) ELS 상품을 부정적으로 보고 이전까지 투자를 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어느 정도 매력적이라는 생각이 있어 ELS 투자를 시작했다. ELS 상품이 무엇인지 내가 왜 투자를 시작했는지 서술했다. 1. ELS? ELS는 Equit.. punchout.tistory.com 위의 내용에 이어서 ELS 손익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ELS 쿠폰(수익률)은 아직도 10% 수준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는 주가가 어느 정도 회복 되어서 다소 부담스러운 측면도 있지만, 쿠폰(수익률)을 고려했을때 투자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개인적 의견) 위의 ELS는 모두 스텝다운형 상품으로 정해진 시점(6개월)마다 연계된 기초 자산을 평가하여, .. 2020. 5. 8.
금융 상품 - 원유 ETF/ETN의 롤오버란? 최근 WTI 원유가 마이너스로 내려가는 등 가격이 낮아 ETN 투자가 많아 지고 있다. 기다리면 원유 가격은 무조건 오를 것이니 기다린다는 사람이 많은데, 롤오버 비용으로 인해 유가가 올라가도 큰 이익을 보기 힘들 수 있다. 롤오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 롤오버의 사전적 의미 선물시장에서 롤오버란 매수차익거래잔고를 차근월물로 자동이전(이월)하는 것을 의미한다. (from 네이버 지식백과) 2. 롤오버를 왜 해야 하는가? 일반적으로 원유 ETF/ETN은 원유 실물을 거래하는 것이 아닌 선물을 거래하는 것이다. 즉, 5월 선물이라 함은 5월에 지정된 저장소/창고를 통해 원유 실물을 받을 수 있는 문서를 거래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선물 시장에는 만기일이 있으며, 만기일 이후까지 선물을 갖고 있다면,.. 2020. 5. 1.
주식 지표 - ROE, ROI, ROA 당기 순이익에 대한 지표인 ROE, ROI, ROA에 대해 알아보았다. ROE, ROI, ROA 모두 당기 순이익에 관한 지표이며, 당기 순이익을 무엇으로 나누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1. ROE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자기 자본 중 당기 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즉, ROE는 기업의 자본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기업의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지 알 수 있다. ROE는 수치가 높을 수록 수익성이 큰 기업으로 볼 수 있다. ROE = 당기 순이익 / 자기 자본 다만, 기업이 부채를 늘릴 경우 수익이 떨어지더라도, 자기 자본대비 수익은 증가(레버리지 효과)하여 ROE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2020. 4. 30.
금융 상품 - ELS(내가 왜 ELS 투자를 시작했는가?) ELS 상품을 부정적으로 보고 이전까지 투자를 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어느 정도 매력적이라는 생각이 있어 ELS 투자를 시작했다. ELS 상품이 무엇인지 내가 왜 투자를 시작했는지 서술했다. 1. ELS? ELS는 Equity Linked Securities의 약자로 개별 주식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에 연계되어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유가 증권이다. ELS의 특징은 연계되는 주식의 가격이 가입 시 정한 특정 % 이하로 떨어지지만 않는다면, 수익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주식과 달리 주가가 떨어지더라도, 특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지만 않는다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2. ELS 종류 녹아웃형 정해놓은 주가에 한 번이라도 도달하면 확정 수익 지급 양방향 녹아웃형 정해놓은 주가에 한 번이라도 도달하면 확정수익.. 2020. 4. 11.
주식 지표 - EBITDA, EBITDA 마진율 주식 지표 중 수익성과 관련된 지표인 EBITDA, EBITDA 마진율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 1. EBITDA, EBITDA 마진율 EBITDA는 기업의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돈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 준다. 영업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에서 법인세, 이자비용, 감가상각비을 제외한 금액을 말하며, EBITDA는 이를 모두 포함하는 금액을 말한다. EBITDA 마진율은 EBITDA에 매출액을 나누어 구한다. EBITDA = 영업이익 + 법인세 + 이자비용 + 감가상각비 EBITDA 마진율 = EBITDA/매출액 X 100(%) 영업이익에서 제외된 비용을 포함시킨 EBITDA는 금융 비용 및 감가 상각비를 비용에서 제외하여,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 창출 능력을 보여준다. EBITDA .. 2020. 4. 8.
미국 기업 사업 보고서 보기 한국의 DART에서 볼 수 있는 기업 사업 보고서 처럼 미국에서도 기업 사업 보고서를 확인 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확인이 가능하다. 1.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 접속 - 아래의 주소로 들어간다 SEC.gov | HOME We Enforce Federal Securities Laws www.sec.gov 2. 증권 거래 위원회 사이트에서 기업 보고서(Filing) 검색 Tab을 들어간다. 3. 찾고자 하는 기업명을 검색한다.(나는 Disney를 검색했다) 4. 해당 기업을 찾고 CIK행에 있는 Number을 클릭한다. - 아래와 같이 동일한 기업 명이 많은 경우에는 클릭해보고, 최근에 Update가 된 곳을 확인하면 된다. 5. 사업 보고서(10-K)를 찾는다. - 사업보고서는 10-K 이며, Fili.. 2020. 4. 6.